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세상 이야기/윤석열 대통령 친위쿠테타

알기 쉬운 12.3관련 윤석열 공소장 주요 내용 분석(마인드맵,공소장파일)

by newsslow 2025. 2. 6.
반응형

12.3 비상계엄 관련해서 윤석열 공소장이 공개되었습니다.

공소장의 주요 내용 마인드맵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2.3 윤석열 공소장 주요 내용

.

12.3 비상계엄 관련 윤석열 공소장 주요 내용

 

1. 비상계엄 선포의 절차적 문제

·   국무회의 심의의 문제: 공소장에 따르면, 피고인은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에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89조와 계엄법 제2조 및 제11조에 위배됩니다. 국무회의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심의하는 최고 정책 심의기관으로, 비상계엄의 선포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합니다.

·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 피고인은 국무회의 구성원들이 모이기 전에 이미 비상계엄 선포를 결정하고, 국무위원들에게 이를 일방적으로 통보했습니다. 이는 국무회의의 심의 과정을 무시한 것입니다.

·   비상계엄 선포문의 미공고: 피고인은 비상계엄 선포문을 공고하지 않았으며, 이는 계엄법상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절차입니다.

2.  경찰의 불법적인 동원

·   국회 봉쇄: 피고인은 군과 경찰을 동원하여 국회를 봉쇄했습니다. 이는 국회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국회의원들의 활동을 방해하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국회의원들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을 저지하기 위해 군 병력을 국회에 침투시킨 점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   경찰의 역할: 경찰은 피고인의 지시에 따라 국회 출입을 통제하고, 국회의원들의 활동을 방해했습니다. 이는 경찰의 본래 임무와 상반되는 행위로,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정보사령부의 역할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점거: 정보사령부는 피고인의 지시에 따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점거하고, 서버실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선거 관리의 공정성을 해치고, 선거 결과에 대한 불신을 조장할 수 있는 행위입니다.

·   합동수사본부 설치: 정보사령부는 부정선거의혹을 수사한다는 명목으로 합동수사본부를 설치하려 했으나, 이는 법적 근거가 불분명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4. 국회 정치인에 대한 탄압

·   주요 인사 체포 시도: 피고인은 주요 정치인들을 체포하기 위해 군과 경찰을 동원했습니다. 이는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탄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   국회의 기능 정지: 피고인은 국회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별도의 비상입법기구를 창설하려 했습니다. 이는 헌법상의 국민주권제도와 의회제도를 부정하는 행위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5. 비상계엄 해제 과정의 문제

·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군 병력을 동원하여 국회의 활동을 방해했습니다. 이는 대통령의 권한 남용으로 보입니다.

·   비상계엄 해제 발표 지연: 피고인은 국회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야 비상계엄을 해제했습니다. 이는 대통령의 권한 남용과 민주적 절차의 무시를 보여줍니다.

6. 법적 절차의 문제

·   영장 없는 체포 구금: 피고인은 영장 없이 주요 인사들을 체포하고 구금하려 했습니다. 이는 헌법상의 영장주의를 위반하는 행위로, 법적 절차의 무시를 보여줍니다.

·   전산 자료의 압수: 피고인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선거 관리위원회의 전산 자료를 압수하려 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 및 법적 절차에 대한 무시를 보여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소장 원문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250126_검찰_윤석열_공소장.pdf
0.73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