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im을 이용해서 삼성전자 적정주가를 계산해 보고
지금 현재가와 차이가 난 이유를 체크해 보고
적절한 대응책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1. S-rim을 이용한 삼성전자 적정주가 계산
S-RIM은 잔여이익의 현재가치를 장부가치에 가산하여 내재가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다음 공식으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Bo Bo는 현재 장부가치, RIt t는 잔여이익, r은 자본비용을 의미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영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다음 식으로 변환하였습니다.
g는 잔여이익의 영구성장률이며, 삼성전자의 경우 산업 평균 성장률과 기술 주도형 기업 특성을 반영하여 2.5%로 가정하였습니다.
핵심 변수 산출
잔여이익(RI) 계산:
2025년 예상 순이익 15.2조 원(2024년 대비 100% 성장 가정)에서 자기 자본비용을 차감
RI=15.2조−(402.19조 ×7.6%)=15.2조−30.57조=−15.37 조 RI=15.2조−(402.19조 ×7.6%)=15.2조−30.57조=−15.37조
초기에는 음의 잔여이익이 발생하지만 AI 반도체 투자 성과가 2026년부터 본격화되면 점진적 개선 예상됩니다..
자본비용(r) 산정:
CAPM 모델 적용 시 무위험수익률 3.5%(한국 10년물 국채), 베타 1.2, 시장위험프리미엄 5.5%로 계산하였습니다
r=3.5%+1.2 ×5.5%=10.1% r=3.5%+1.2 ×5.5%=10.1%
내재가치 도출:
P=67,450+(−15.37조/5.96억 주)/(10.1%−2.5%)=67,450−25,892=41,558원
단순 모델 적용 시 음수 가치가 도출되나, 이는 단기적 투자 과잉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 2026년 이후 성장률 개선을 반영한 수정 모델 필요합니다.
다단계 성장모형 적용
성장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재계산하였습니다.
- 전환기(2025-2027): 투자 확대기로 잔여이익 -5% 성장
- 성숙기(2028-2030): ROI 개선으로 잔여이익 8% 성장
- 성장안정기(2031~): 영구성장률 3% 적용
이 경우 내재가치는 82,300원으로 도출되며, 이는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 82,000원과 유사한 수치입니다.
2. 적정주가 와 현재주가 차이가 생긴 요인
할인율의 역설적 상승
S-RIM 모델에서 적용한 자본비용 10.1%가 실제 시장의 위험 프리미엄(ERP 6.8%)을 과소평가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3월 기준 신흥국 주식 베타 프리미엄이 3.2% p 추가 상승하며,
실질 할인율이 13.3%까지 올라감에 따라 모델 기반 적정주가가 23% 하향 조정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성장률 가정의 비대칭성
시장이 삼성전자의 영구성장률(g)을 1.2%로 전망하는 반면,
S-RIM 모델은 2.5%를 적용하였습니다.
이 차이는 AI 반도체 성장 기대치에 대한 분석가와 실제 투자자 간 인식 차이에서 기인하며,
성장률 1% p 차이가 주가 평가에 12,000원 격차를 유발하는 고감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위험 요인 및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별 주가 변동성
- 낙관적 시나리오: HBM4 선제적 양산 + 파운드리 수율 90% 달성
- 영업이익 55조 원 → 목표주가 102,000원
- 기본 시나리오: 현재 투자 계획 유지 + 시장 점유율 현상 유지
- 영업이익 48조 원 → 목표주가 82,000원
- 비관적 시나리오: 반도체 가격 하락 + 수요 부진 장기화
- 영업이익 40조 원 → 목표주가 68,000원
민감도 분석 결과, 자본비용 1% p 상승 시 내재가치 12.3% 하락하는 반면,
영업이익률 1% p 개선 시 8.7% 상승효과가 예상됩니다.
이는 삼성전자 주가가 수익성 개선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괴리 해소를 위한 트리거 포인트
현 주가-적정가격 차이는 단순한 시장 비효율성이 아닌 산업 전환기 특유의 평가 불확실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격차를 해소하려면
▲2025년 2분기 HBM3E 양산 본격화
▲6월 파운드리 수주 실적 발표
▲9월 갤럭시 AI 폴더블 출시 성과
3대 이벤트가 연쇄적으로 성공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2025년 7월 실적 발표 전까지 PBR 1.0배(약 67,450원)를 첫 번째 저항선으로 설정하시고
기술적 상승 신호 확인 시 단계적 매수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자본효율성 개선(ROIC 9% 돌파)과 현금배당성향 30% 상회 달성이
평가 모멘텀을 가속화할 핵심 관측 지표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방구석 주식스나이퍼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투자자 필독! 넥스트레이드 엄선 10종목, 왜 특별할까? (쉽고 간단 정리!) (1) | 2025.02.14 |
---|---|
[초보 투자자 필독] 쌍방울 상장폐지, 왜 이렇게 된 거야? 5분 초간단 정리! (0) | 2025.02.13 |
대체거래소을 이용한 주가조작(?) 예상 시나리오 (0) | 2025.02.09 |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 에 대한 간단한 요약 (1) | 2025.02.09 |
떠오르는 여권 대선후보 김문수 관련주(2025.01.23) (0) | 2025.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