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대로 주식하지 말자!!!/SG증권발 하한가사태

SG증권발 하한가사태 에서 체크해 봐야 될 사항들

by newsslow 2023. 5. 1.
반응형

아직까지 뉴스보도되지 않는

 중요 내용들을 체크해 봅시다.

 

1. 마무리 - 하한가를 누가, 왜, 어떻게 했는지 보도가 안되고 있다.

   -SG증권발 하한가 상태가 발생한 지

      시간이 많이 지났는데

       최초 왜 이런 무더기 하한가가

       발생했는지 정확하게 

        보도는 되지 않고 있습니다.

        누가

        몇 개의 종목을

        얼마의 금액으로

        어떻게 했는지

        4월 24일 하한가 작업에 대해서는

       보도가 되질 않고 있습니다.

        전체 8개의 종목을 전부 하한가 작업을 했는지

        아니면 2-3개 종목을 하한가 작업을 하다가

         생각지도 못한 연결된 계좌 때문에 연속적으로 

          하한가 가게 됐는지

          공매도를 했으면 누가 얼마의 금액으로 했는지

           지금까지 얼마나 순이익을 챙겼는지

          4월 24일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아직 보도가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피해자는 보도가 되는데

          이득 본 사람들은 누군지 파악도 안되고 있습니다.

          최초 주가조작으로 주가를 상승시키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

          누군가 의도적으로 하한가를 보낸 것이면

          이것 또한 관심을 가지고 

           살펴봐야 될 것입니다.

 

2.  시작 - A투자자문회사는 하한가 관련 종목에  몇 개 얼마나 투자했나?

       -이번 하한가 사태와 관련되어 

          가장 많이 보도되고 있는 것은 

            A투자자문회사입니다.

           뉴스에 주로 보도되는 것은 

           약 1000여 명 이상이 피해자이고

            투자자를 불법으로 모집해서

             불법투자를 했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정확하게 전체 투자금액이 얼마이고

             전체 얼마나 피해를 입었는지는 보도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몇 명의 피해가 큰 사람들만 

             보도되고 있습니다.

             모방송국은 올초부터 탐사취재를 했다고 했는데

             4월 24일 상황은 아직 파악이 안 될 수도 있겠지만

             투자자문회사에 대해서는 많이 취재를 한 것 같은데

             수박 겉핥기만 하다가 

             관련자 몇 명 때리다가

              흐지부지 사라져 버릴 거 같습니다. 

              이번 하한가사태의 주범이라고

                의심되는 A 투자자문회사는

                 미디어 인터뷰들을 통해서

                자신도 피해자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하한가종목에 대해서는

                 몇 개의 종목을 얼마의 금액으로

                어떻게 투자했었는지는  보도되지 않고 있습니다.

               투자자 대표는 자신도 피해자라고

                말하면서 자신과 주변의 피해금을 말하는 것보다는

               대략적이라도 투자한 기업과 투자금액을

                말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자하는 방법은 투자인지 조작인지

              수사 중인 상태에서 그것을 제외하더라도

                최소한 자신의 억울함을 알리면서

                여론전을 할 생각이면

                이런 것들을 알리는 것이 좋지 않나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